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절차

by 장미11 2025. 4. 19.

불공정한 거래, 부당한 계약 조건, 기술 탈취 등의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소비자보호원 

 

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절1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는 방법부터 실제 사례, 온라인 신고 절차, 자영업자 맞춤 대응 전략까지 쉽게 설명합니다.

 

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방법

  • 온라인 신고: 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 접속 → 사건처리 시스템 → 신고서 작성 및 증거 파일 첨부 → 접수 완료 후 사건번호 부여
  • 국민신문고 연동: 소비자 피해 신고 시 자동으로 공정위·소비자원 등 관련기관 연계
  • 우편 및 방문 신고: 신고서 양식 다운로드 후 지방사무소 또는 본부에 제출 (내용증명 우편 권장)
  • 익명제보센터: 본사에 신고하기 어려운 가맹점·하청업체의 경우 익명 신고 가능 + 포상금 제도 있음

 

2. 실생활 속 신고 사례

  • 가맹본사의 판촉비 강제 전가: 본사의 일방적 판촉물 공급 → 공정거래법 위반
  • 하도급 단가 후려치기: 납품 완료 후 단가 인하 요구 → 하도급법 위반
  • 기술 탈취: 검토만 한다며 기술자료 요구 후 모방 → 기술 유용 행위
  • 허위 광고: 무료·할인 광고 후 결제 시 옵션 비용 추가 → 소비자기만
  • 일방 계약 해지: 협의 없이 납품 중단 및 위약금 청구 → 대리점법 위반

 

3. 신고 후 대응 팁

  • 사건번호 확인: 접수 시 부여되는 사건번호로 처리 진행 상황 수시 확인 가능
  • 연락 시 응대 요령: 담당자와 통화 시 감정보다 사실 중심 응대가 신뢰도 향상
  • 연계 기관 활용: 소비자원, 공익법률상담센터 등과 연계해 분쟁조정, 민사소송도 고려 가능

 

4.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전략

 

012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절2

  • 계약서 재검토: 이상한 조항 발견 시 공정위 불공정약관 심사 요청
  • 모든 요구는 기록: 문자, 녹취 등 비공식 요구도 증거화 필요
  • 기술자료 요청 시: NDA(비밀유지계약) 요구 필수

 

마치며

 

012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절3

불공정한 일이 발생했을 때 중요한 건 침묵이 아닌 행동입니다. 공정위 신고는 개인 권리 보호뿐만 아니라 전체 시장의 공정성을 바로잡는 첫걸음입니다. 지금 억울한 일이 있다면, 이 글의 절차를 따라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를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세요.